Mind

Quote from Kai Chan Andrew on 09/03/2025, 7:59 pmMind
In Buddhism, the word mind is often used to mean the source or the center of both body and consciousness. It’s the “main character” behind our thoughts, emotions, and awareness.
In a broader sense, every being—whether human, animal, or even plants and rivers—can be said to share in this “one mind.”The Perfect Enlightenment Sutra says: “Because the mind exists, the universe appears.” Put another way, without mind, there would be no universe.
But in the Diamond Sutra, we are told that even this mind is not ultimately real. It’s like a shadow, a mirage in the desert—something that seems to exist but disappears when you try to grasp it.
When we cling to this illusion as if it were solid and real, the idea of “I” is born. This strong sense of self becomes the root of suffering.The Heart Sutra is the Buddha’s teaching on wisdom that shines a light on the mind. It teaches that the body is empty, and even our consciousness is empty. When we see this clearly, the idea of “I” dissolves, and with it, suffering disappears. We move toward a state of freedom beyond life and death.
Learning happens in steps:
First, we hear and understand the teaching.
Second, we deepen faith and practice meditation.
Third, through experience, we awaken compassion and wisdom.
The Avatamsaka Sutra calls this process faith, understanding, practice, and realization.
But what is this mind?
It cannot be seen, touched, or fully understood. If we say it exists, we cannot point to it; if we say it does not exist, everything we experience is still reflected within it.The sutras advise: “Use your mind well.”
To use the mind well means to let go of pride (humbling the heart) and to release attachment (putting things down).
This sounds simple, but it’s one of the hardest things to do.The great Korean master Wonhyo wrote:
“To accomplish what is most difficult is to be as worthy of respect as the Buddha himself.”Why did the Buddha share this path of awakening?
Because the joy of truth is boundless. It is called the bliss of Dharma.As another verse says:
“Half a cup of tea, its fragrance just as before.
Water flows, flowers bloom.”
마음
몸과 의식, 또는 정신작용의 주인공을 마음이라고 통칭한다.
동서고금 어느 나라사람 나아가 미생물과 산천초목 또한 한마음이라 할 수 있다.
원각경에서는 마음이 있어서 우주가 만들어진다, 하였다. 역설적으로 말하자면 마음이 없으면 우주는 없는것이다.
하지만 마음은 금강경에 보자면 이름이 마음이지 그 마음 또한 환상이요 그림자이다. 그림자는 실재하는 것이 아니다. 마치 사막에서 보일수있는 아지랑이 신기루와 같은 착시현상이다.
실재하지 않는 것을 실재하는 것처럼 집착하게 되면 나라는 아집이 생기고 나'라는 아집병을 탄생시킨다.반야심경이란 지혜로써 마음을 밝히는 붇다의 설법이다.
몸이 공하고 정신작용인 의식마저 공하니, 그 자리엔 자아라고 하는 '나'가 공空하게 된다. 그러므로 일체의 고통이 사라지고 생사로부터 자유로운 경계로 이어진다.
"그렇구나", 하고 이해하는 것은 첫번째 배움이요, 믿음을 바탕으로 한 선정공부가 두번째 배움이요, 체험과 증득을 통하여 자혜와 자비심의 전개가 세번째 배움이니, 화엄경에서는 이를 일러 신해행증(信解行證:믿고 알고 행하여 깨닫는다) 이라한다.
마음, 마음?
볼 수도, 만질 수도 없는, 알 수도 없는 마음이여!
마음이 있다하나 보여줄 수 없고 없다고 하나 만상을 다 비추이네.
화엄경에서는 선용기심(善用其心: 그 마음을 잘 쓰라)이라.
마음을 잘 쓴다는 것이 어떤것인가?
하심(下心:내려놓음)과 방하착(放下着:집착을 내려놓음)이다.
그러나 하심과 방하착을 그 누가 할 수 있을까!
알 듯하면서도 하기 힘든것이 이것이다.
원효대사의 발심장에는 이런 글귀가 있다.
난행을 능행하면 존중여불이라
어려운 일을 능히 해내니 부처님처럼 존경스럽네.
부처님은 어찌하여 이 깨달음의 세계를 설파하셨는가?
법희충만(法喜充滿)
그 기쁨이 이를데가 없기 때문이리라.다반향초 수류화개(茶半香初 水流花開)
차 반잔, 향내는 처음과 같고
물은 흐르고 꽃은 피누나
Mind
In Buddhism, the word mind is often used to mean the source or the center of both body and consciousness. It’s the “main character” behind our thoughts, emotions, and awareness.
In a broader sense, every being—whether human, animal, or even plants and rivers—can be said to share in this “one mind.”
The Perfect Enlightenment Sutra says: “Because the mind exists, the universe appears.” Put another way, without mind, there would be no universe.
But in the Diamond Sutra, we are told that even this mind is not ultimately real. It’s like a shadow, a mirage in the desert—something that seems to exist but disappears when you try to grasp it.
When we cling to this illusion as if it were solid and real, the idea of “I” is born. This strong sense of self becomes the root of suffering.
The Heart Sutra is the Buddha’s teaching on wisdom that shines a light on the mind. It teaches that the body is empty, and even our consciousness is empty. When we see this clearly, the idea of “I” dissolves, and with it, suffering disappears. We move toward a state of freedom beyond life and death.
Learning happens in steps:
-
First, we hear and understand the teaching.
-
Second, we deepen faith and practice meditation.
-
Third, through experience, we awaken compassion and wisdom.
The Avatamsaka Sutra calls this process faith, understanding, practice, and realization.
But what is this mind?
It cannot be seen, touched, or fully understood. If we say it exists, we cannot point to it; if we say it does not exist, everything we experience is still reflected within it.
The sutras advise: “Use your mind well.”
To use the mind well means to let go of pride (humbling the heart) and to release attachment (putting things down).
This sounds simple, but it’s one of the hardest things to do.
The great Korean master Wonhyo wrote:
“To accomplish what is most difficult is to be as worthy of respect as the Buddha himself.”
Why did the Buddha share this path of awakening?
Because the joy of truth is boundless. It is called the bliss of Dharma.
As another verse says:
“Half a cup of tea, its fragrance just as before.
Water flows, flowers bloom.”
마음
몸과 의식, 또는 정신작용의 주인공을 마음이라고 통칭한다.
동서고금 어느 나라사람 나아가 미생물과 산천초목 또한 한마음이라 할 수 있다.
원각경에서는 마음이 있어서 우주가 만들어진다, 하였다. 역설적으로 말하자면 마음이 없으면 우주는 없는것이다.
하지만 마음은 금강경에 보자면 이름이 마음이지 그 마음 또한 환상이요 그림자이다. 그림자는 실재하는 것이 아니다. 마치 사막에서 보일수있는 아지랑이 신기루와 같은 착시현상이다.
실재하지 않는 것을 실재하는 것처럼 집착하게 되면 나라는 아집이 생기고 나'라는 아집병을 탄생시킨다.
반야심경이란 지혜로써 마음을 밝히는 붇다의 설법이다.
몸이 공하고 정신작용인 의식마저 공하니, 그 자리엔 자아라고 하는 '나'가 공空하게 된다. 그러므로 일체의 고통이 사라지고 생사로부터 자유로운 경계로 이어진다.
"그렇구나", 하고 이해하는 것은 첫번째 배움이요, 믿음을 바탕으로 한 선정공부가 두번째 배움이요, 체험과 증득을 통하여 자혜와 자비심의 전개가 세번째 배움이니, 화엄경에서는 이를 일러 신해행증(信解行證:믿고 알고 행하여 깨닫는다) 이라한다.
마음, 마음?
볼 수도, 만질 수도 없는, 알 수도 없는 마음이여!
마음이 있다하나 보여줄 수 없고 없다고 하나 만상을 다 비추이네.
화엄경에서는 선용기심(善用其心: 그 마음을 잘 쓰라)이라.
마음을 잘 쓴다는 것이 어떤것인가?
하심(下心:내려놓음)과 방하착(放下着:집착을 내려놓음)이다.
그러나 하심과 방하착을 그 누가 할 수 있을까!
알 듯하면서도 하기 힘든것이 이것이다.
원효대사의 발심장에는 이런 글귀가 있다.
난행을 능행하면 존중여불이라
어려운 일을 능히 해내니 부처님처럼 존경스럽네.
부처님은 어찌하여 이 깨달음의 세계를 설파하셨는가?
법희충만(法喜充滿)
그 기쁨이 이를데가 없기 때문이리라.
다반향초 수류화개(茶半香初 水流花開)
차 반잔, 향내는 처음과 같고
물은 흐르고 꽃은 피누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