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or Register to create posts and topics.

A Memorial Ceremony for Ancestors 백중절 안내

About This Ceremony at Seumisa (Seomisa) Temple

This annual memorial ceremony at Seumisa (Seomisa)Temple, located in Tacoma, Washington, is rooted in a profound Buddhist story centered on Maudgalyāyana (called Moknyeon or Mogallayana in Korean, Mokuren in Japanese), one of the Buddha’s ten principal disciples renowned for his deep spiritual powers and compassion.

According to the ancient texts, after Maudgalyāyana’s mother passed away, he used his supernatural insight to discover that she was suffering in the realm of hungry ghosts due to the negative karma accumulated from unwholesome actions in her past life. Distressed by her plight, he sought the Buddha’s counsel on how best to alleviate her suffering.

The Buddha instructed Maudgalyāyana not to attempt this alone but to gather the monastic community, make offerings, and perform collective prayers and rituals. Through this shared act of compassion and the transfer of merit, Maudgalyāyana’s mother was liberated from her suffering, symbolizing the power of filial piety, collective spiritual practice, and the interconnectedness of all beings.

From this ancient episode, Buddhist cultures in East Asia, including Korea, developed an enduring tradition of holding annual ceremonies to honor and remember one’s ancestors and departed loved ones. Known by various names such as Ullambana, Baekjung, or the Ghost Festival, this observance is more than a ritual of remembrance; it is a heartfelt expression of gratitude, a teaching on karmic causality—that our present actions bear fruits in the future—and a communal reaffirmation of kindness, generosity, and spiritual solidarity.

At Seumisa (Seomisa) Temple, this ceremony offers a serene space for the Korean-American community and all attendees to come together to reflect on the past, express love and respect for departed family members, and to cultivate compassion in mind and heart. The temple’s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al beauty and tranquil natural surroundings enrich the spiritual atmosphere, making it a sacred place for both worship and family gathering.

This ceremony not only revives an ancient Buddhist teaching but also weaves together the cultural values of Korean heritage and Buddhist ethics, reinforcing how the paths of personal spiritual growth and filial reverence are deeply intertwined. The event serves to remind participants that caring for others, honoring ancestors, and striving for spiritual merit are essential parts of the Buddhist path and Korean cultural identity.

2025 Ullambana Ceremony and Prayer Guide

We take refuge in the Three Jewels.

The 15th day of the seventh lunar month has long been considered the day when the gates of hell are opened. It is a day dedicated to praying for the rebirth of our ancestors, parents, siblings, and relatives into the Pure Land.

Therefore, Seomisa Temple will hold an Ullambana prayer service and a Buddhist ceremony as follows. We hope you will join us.


- Details -

Start Date: Sunday, August 31, 2025, at 11:00 AM End Date: Saturday, September 6, 2025, at 11:00 AM

Prayer Times: 5:00 AM (Morning) 10:00 AM (Day) 7:00 PM (Evening)

Prayer Offering Fee: $50 Offering for a single spirit: $50


Seomisa Templ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215 E 72nd ST TACOMA WA 98404 Email: seurea99@gmail.com

 

 

서미사 절 백중 의식에 대하여

서미사 절(미국 워싱턴주 타코마 소재)에서 매년 진행되는 백중(우란분절) 기념 의식은 불교에서 매우 깊은 의미를 지닌 이야기에서 기인합니다. 이 의식은 부처님의 열 명의 주요 제자 중 한 분인 목련존자(한국어로는 목련 또는 목건련의 자비와 효심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옛 불교 경전에 따르면, 목련존자는 죽은 자신의 어머니가 과거의 악업으로 인해 아귀(굶주린 혼령)의 고통스러운 세계에 빠져 있다는 것을 자신의 신통력으로 알아차렸습니다. 그는 어머니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부처님께 도움을 청했고, 부처님께서는 혼자서 해결하려 하지 말고 스님들(승가)을 모아 공양을 올리고 함께 기도와 법문을 하도록 하라고 가르쳤습니다. 이때 다 함께 쌓은 공덕이 어머니의 고통을 덜게 하고 해탈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이 사건은 동아시아 불교권에서 ‘백중’이라 불리는 조상과 부모님을 위한 연례 기도 의식의 근원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한국에서는 음력 7월 15일을 중심으로 이 의식을 봉행하며, 가족 및 조상에 대한 감사, 공덕 회향, 그리고 인과응보(업장과 과보의 법칙)를 상기하는 시간이 됩니다.

서미사 절은 미국 내에서 한국 전통 불교 문화를 계승하는 대표적인 사찰로서, 이 의식을 통해 지역 한인 불자들과 커뮤니티 참가자들이 조상에 대한 효도와 공경을 실천하며 마음의 자비를 기릅니다. 한국의 전통 건축미와 자연의 평화로운 환경이 어우러진 서미사 절에서의 백중 의식은 단순한 종교 행사를 넘어 가족과 공동체의 정을 확인하는 시간입니다.

더불어, 이 의식은 원래 인도 불교의 우란분경에서 유래하였으나, 동아시아 특히 한국 불교에서는 유교의 효 사상과 결합되어 더욱 발전하였고, 현재는 한국 문화와 불교 신앙의 중요한 축제이자 정신적 유산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서미사 절의 백중 의식은 한민족의 전통 문화와 불교 수행이 미국이라는 다문화 사회에서 어떻게 조화롭게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예입니다. 이 자비와 효행의 행사는 대를 잇는 가족의 유대감뿐 아니라, 불자 개인의 내면적 성장과 자비심 함양을 돕는 소중한 시간이 됩니다.


2025년 백중 천도제 및 기도 안내

삼보에 귀의합니다.

음력 7월 15일은 예로부터 지옥문이 열리는 날이라 하여, 먼저 가신 조상, 부모, 형제 그리고 일가친척의 극락왕생을 발원하는 날입니다.

이에 저희 서미사에서는 아래와 같이 백중기도와 천도제를 봉행하오니, 많은 동참 바랍니다.


- 상세 안내 -

입제: 2025년 8월 31일 일요일 오전 11시 회향: 2025년 9월 6일 토요일 오전 11시

기도 시간:

  • 아침 5시

  • 사시 10시

  • 저녁 7시

축원비: $50 영가 1위: $50


대한불교조계종 서미사 215 E 72nd ST TACOMA WA 98404

이메일: seurea99@gmail.com

 

Uploaded files:
  • You need to login to have access to uploads.